도서소개


한국의 신진 교회사학자,
오늘의 한국 교회를 형성한 세계 복음주의 흐름을 그려 내다!


“이제 이 책을 읽지 않고서는 복음주의를 논하기 어려울 것이다!”
- 이문식, 김동춘, 박응규, 김선일, 양희송, 이강일, 이성호, 김진혁 추천


복음주의란 무엇인가? 한국 교회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말이지만, 정작 정확한 의미를 잡아내기 어려운 말이 바로 복음주의다. 복음주의는 기본적으로 복음, 곧 기쁜 소식을 중심에 두는 신앙 유형을 말한다. 그러면서도 지난 기독교 역사 가운데 일어난 사건을 바탕으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역사적 배경에 따른 복음주의의 다양한 유형이 있다.
세계화된 복음주의, 곧 오늘날 우리가 경험하는 영미권 기원의 복음주의가 태동한 시기는 18세기 1차 대각성으로부터 시작했다. 이 시기로부터 19-20세기를 거쳐 다양한 부흥사, 사회개혁가, 신학자, 설교자 등이 이끈 신앙의 탄력과 기세를 이어받은 복음주의는 하나의 운동으로서 근대 영미권 기독교를 장악했다. 또한 18세기 이래로 서양 복음주의자들이 해외 선교를 통해 비서양 지역에 복음주의 신앙을 전파하면서, 영미권을 넘어선 세계화된 복음주의 체제가 등장했다.
복음주의는 한 특정 교파나 신학 체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장로교, 감리교, 침례교, 성공회, 오순절 등 다양한 교파 안에 복음주의자가 있다. 특히 오늘날에는 다양하게 분화한 복음주의를 세심하게 바라보아야 한다. 이 책은 세계기독교 관점에서 영미 기원 복음주의 신앙의 세계화 과정을 분석하면서, 이 신앙이 한국의 맥락에서 어떻게 전파, 확산, 정착, 적응했는지를 한국 역사가의 눈으로 가능한 꼼꼼하게 보여주려 노력했다.



차례

머리말

Ⅰ. 지형도: 20세기 복음주의는 어떻게 형성되었나
1. 복음주의 정의 내리기
2. 20세기 복음주의 주요 주제 개관
Ⅱ. 세계화: 영미 복음주의는 어떻게 세계기독교로 부상했나
1. IVP 영미 복음주의 역사 시리즈
2. 2차 대전 종전 후 세계 기독교 지형의 극적인 변화
3. 비서양 기독교와 세계기독교학
Ⅲ. 성경과 신학: 복음주의자는 성경을 어떻게 읽었나
1. 20세기 영미 복음주의의 역사적 발전
2. 복음주의 성경관 및 성경연구
Ⅳ. 지성과 변증: 복음주의자는 어떻게 자기 신앙을 변호했나
1. 계몽주의는 어떻게 복음주의의 적대적 동반자가 되었나
: 20세기 복음주의 변증학 태동의 역사적 배경
2. 20세기 개신교 복음주의 변증학의 대표자들
Ⅴ. 공공성: 로잔대회 이후 복음주의는 어떻게 달라졌나
1. 복음주의 사회성의 스캔들?
2. 복음주의자의 반성과 변화
Ⅵ. 오순절: 오순절 및 은사주의 운동은 세계 복음주의 지형을 어떻게 바꾸었나
1. 세계 기독교의 오순절화 현상
2. 오순절 용어 정의
3. 오순절 기원 논쟁
4. 특징: 패러다임 시프트, 제3 혹은 제4의 기독교?
5. 분화: 서양/비서양 오순절교회, 은사주의 갱신
6. 평가

에필로그: 21세기 세계 및 한국 복음주의의 현실과 전망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_이재근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신학과B.Th.를 졸업하고,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에서 목회학석사(M.Div.)를 받았다. 이후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에서 신학석사(Th.M.), 미국 보스턴 대학(Boston University)에서 신학석사(S.T.M.)를 거쳐, 스코틀랜드 에든버러 대학(The University of Edinburgh)에서 세계기독교연구소장(Centre for the Study of World Christianity) 브라이언 스탠리(Brian Stanley)를 사사하여 철학박사(Ph.D.) 학위를 받았다. 한국 기독교의 발자취, 한국 기독교 역사와 세계 기독교 역사와의 관계, 세계 기독교 지형 내에서의 한국 기독교의 위치 등이 주 연구분야다.
현재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에서 교회사와 선교학을 가르치고 있으며, 광교산울교회 협동목사로 섬기고 있다.



본문중에

“복음주의는 이 단어 안에 나와 있는 대로, 복음을 가장 소중히 여기는 복음적?성경적 신앙을 지칭하는 표현이다. 그 복음은 예수 그리스도 안에 있는 구원의 기쁜 소식을 뜻한다. 16세기 복음주의자는 이 복음을 따르기 위해 로마가톨릭에 저항한 루터파를 의미하며, 18세기 이래 복음주의자는 교권주의, 세속주의에 반대해 복음이 주는 생명력과 갱신에 이끌린 사람들, 곧 신앙과 경건, 기독교적 지성의 부흥을 열망한 사람들을 일컫는다. 20세기 복음주의자는 근본주의의 반지성, 반문화적 성격에 저항하고, 자유주의의 반성경적 태도에 저항하여 성경에 근거한 신앙을 붙드는 동시에, 근본주의의 고립주의를 탈피해서 지성과 문화 영역에서도 그리스도의 주권을 지켜 내려는 신앙인을 의미한다.”
---「1부. 지형도: 20세기 복음주의는 어떻게 형성되었나」중에서

“1800년에는 전형적 기독교인(a typical Christian)이라고 하면 영국에 사는 29세 백인 남성이었다. 하지만 오늘날의 전형적 기독교인은 남아메리카나 아프리카의 젊은 여성일 것이다. 백인이기보다는 흑인 혹은 다른 유색인, 남성이기보다는 여성이다. 여성은 늘 그랬듯, 지금도 전 세계 거의 모든 지역 교회의 최소 60%, 지역에 따라 80%까지도 차지하는, 교회의 다수 구성원이다. 결국 과거의 전통과 역사의 틀로 신학과 교회사를 이야기할 때에는 당연히 서양을 중심으로 기독교를 이야기할 수밖에 없지만, 이제 이 어마어마한 변화의 상황, 그리고 신학을 이야기할 때 더 이상 유럽과 북미의 기존 체계만 가지고는 이야기할 수 없는 시대가 된 것이다.”
---「2부. 세계화: 영미 복음주의는 어떻게 세계기독교로 부상했나」중에서

당시 미국 내 근본주의 진영이 세상으로부터 고립되어 게토로만 존재하며 공격적이고 전투적으로 바뀌는 것을 지켜보던 젊은 복음주의자 일부가 ‘이것은 참된 기독교가 아니다’라는 각성을 하며 일종의 연대를 형성했다. 이들은 고립형 근본주의의 반문화?반지성?반학문 풍토에 반대하면서 세상에 나가 학문과 지성과 문화를 주도하겠다고 선언했다. 이 젊은 근본주의자들을 ‘신복음주의자’(neo-evangelicals)라고 부른다.
---「3부. 성경과 신학: 복음주의자는 성경을 어떻게 읽었나」중에서